"자산어보" 흑백영화로 본 미학-영상미, 상징, 연출법
영화 자산어보는 조선시대 학자 정약전과 어부 창대의 우정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다. 그러나 이 작품은 단순한 역사 영화가 아니다. 흑백이라는 형식을 선택하면서, 시각적 표현과 상징, 연출의 깊이를 더한 ‘미학적 실험’이기도 하다. 이 글에서는 자산어보의 영상미, 상징성, 연출법을 중심으로 흑백영화로서의 미학을 심도 있게 분석한다.영상미: 색을 덜어낸 대신, 감정을 채우다영화 자산어보는 과감히 흑백을 선택함으로써, 오히려 더 풍부한 감정과 감각을 끌어낸 작품이다. 컬러를 제거한 것은 단순한 시각적 실험이 아니라, 영화가 가진 주제와 메시지를 더 깊고 선명하게 전달하기 위한 장치였다. 흑백 화면은 단순히 과거의 분위기를 재현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. 정약전이 머문 유배지 흑산도의 자연과 어부들의 삶, 조선..
2025. 10. 22.